github 3

netlify로 사이트 배포해보기

1. drag and drop 을 이용한 방법 우선 netlify에 접속 해 준 후에 깃허브를 통해 로그인해준다.https://app.netlify.com/ Netlify app.netlify.com sites 툴에 들어가 프로젝트 폴더를 드래그하여 하단의 네모칸 안에 삽입한다. 도메인을 등록 한 후에 url을 복사해 다른 곳에서 접속해보면 잘 접속이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만약 프로젝트가 업데이트 된다거나 하면 deploys 탭에 업데이트한 폴더를 하단의 네모칸에 드래그하면 업데이트된다.  깃허브 repository를 이용한 방법도 있으나 이것은 추후에 서술하겠다.

github 2024.12.26

깃허브 프로젝트 연동에 필요한 명령어

기존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연동 시켜사용하려고 할때에 필요한 명령어를 정리했다. 1.git 초기화git init 2.깃허브에 repo 생성-> read me 없이 생성 권장 (에러 유발 가능성)  3.프로젝트와 repo 연결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이름/repo이름.git 주소는 리포지토리에 들어가서 code버튼을 눌러 복사 할 수있다. 후에 git remote -v 를 눌러 연결된 주소를 확인해주자 4.브랜치를 메인으로 만들기git 브랜치를 확인했을때에 *master 로 되어있다면 commit을 할때에 에러가 발생할것이다.git branch -m master main git checkout main 이렇게 입력해주면 브랜치가 master 에서 main 으로..

github 2024.11.21

깃허브 데스크탑 프로젝트 연동시키기

우선 연동하고자 하는 파일을 ide 프로그램으로 연다.그런 후 터미널에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아이디@example.com" 을 입력한다.필자는 이메일을 한번 잘못 써서 다시썼다... 오해없길 바란다.  그런 후 깃허브 데스크탑으로 돌아와 왼쪽상단의 화살표를 눌러 창을띄우고 add를 클릭후 create New Repository 를 클릭한다.  원하는 이름과 파일을 선택 후 create를 눌러주면 잘 연동된 모습을 볼 수 있다.

github 2024.11.19